미국 관세 협상의 다음 단계는 무엇인가요?

미중 관세 관계나 미국-멕시코-캐나다 자유무역협정(USMCA)이 제공하는 안정성에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, 글로벌 무역 논의의 새로운 장이 열리고 있습니다.
2025년 4월 2일, 미국 정부는 국제긴급경제권한법(IEEPA)을 발동하여 전 세계 각국의 수입품에 대한 상호 관세를 발표함으로써 신속한 협상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습니다. 이후 국가별 요금은 중국을 제외하고 일괄적으로 10% 로 인하되었으며, 이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계속 유지되었습니다.
세 가지 트랙, 하나의 목표: 관세 재조정
미국은 현재 글로벌 무역 관계에 대해 세 가지 트랙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:
- 캐나다와 멕시코는 단기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USMCA에 따라 대부분의 인증 화물은 계속 면세로 운송되며, 즉각적인 변경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
- 여전히 가장 변동성이 크고 복잡한 무역 파트너인 중국은 독자적이고 매우 예측하기 어려운 궤도를 걷고 있습니다.
- 그 외의 국가에서는 일본, 한국, 베트남, EU, 영국, 인도 등 주요 무역 파트너가 우선순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이번 회담에서 기대할 수 있는 사항
이번 협상은 본격적인 자유무역협정보다는 2020년 중국과 체결한 '1단계' 합의와 유사한 제한적이지만 전략적인 약속을 도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각 국가는 IEEPA에 따라 현재 10% (중국의 경우 더 높음)으로 설정된 상호 관세의 유예 또는 철폐에 대한 대가로 더 많은 미국 제품을 구매하거나 특정 무역 장벽을 줄이거나 미국 산업에 투자하는 데 동의할 수 있습니다.
관세 일정 및 전망
미국 무역대표부(USTR)는 5월 상반기에 이들 국가와 양자 회담을 개최하기 위한 패스트트랙 절차를 시작했습니다. 이러한 초기 회의에 이어 두 번째 회의에서 약속을 확정할 예정입니다. 많은 국가의 목표는 현재 90일간의 상호 관세 인상 유예가 만료되기 전 마지막 날인 2025년 7월 8일까지 합의에 도달하는 것입니다.
한국, 베트남, 일본, EU, 영국, 인도 등의 국가에 대한 첫 공식 발표는 5월 말 또는 6월 초에 발표될 것으로 보입니다. 그 전까지는 세부 사항을 검토하는 동안 이러한 논의의 진행 상황에 대한 공개적인 논평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.